배경
전세계 인구 증가로 물 수요는 늘어나는 반면 지구의 수자원 공급은 한정돼 있기 때문
지구는 75% 이상이 물이지만, 바로 마실 수 있는 지하수 등 민물은 3%이하
지구상의 물 중 97% 먹을 수 없는 바닷물, 이 바닷물 1리터(L)를 정화하려면 신선한 물 355L가 필요
국제연합환경계획(UNEP) 환경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1은 극심한 물 부족으로 고통
2025년이면 3분의 2가 물 부족
◆ 테트라 테크, 목표가 27% 인상
20일 자 미국 투자매체 배런스(Barron's)는 물에 투자하는 5가지 방법으로 상장지수펀드(ETF) 2개와 주식 3개를 추천했다.
물 관련 ETF로는 ▲파워셰어즈 워터 리소시즈(종목코드: PHO) ▲구겐하임 S&P 글로벌 워터(종목코드: CGW)가 꼽혔고, 물 관련주로는 ▲테트라 테크(종목코드: TTEK) ▲자일렘(종목코드: XYL) ▲이트론(종목코드: ITRI)이 지목됐다.
파워셰어즈 워터 리소시즈(종목코드: PHO)는 나스닥 OMX 미국 물 지수(NASDAQ OMX US Water Index)를 추종한다. 이 지수는 가정·산업용 물을 보존 및 정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품을 만드는 상장 기업들로 만들어져 있다.
주요 종목에는 ▲로퍼 테크놀로지(8.8%) ▲워터스(8.79%) ▲다나허(8.38%) ▲에콜랩(8.12%) ▲HD 서플라이 홀딩스(8.04%)가 있다. PHO는 2015년에 가격이 큰 폭 추락했으나 작년부터 다시 회복세를 보여 왔다. 연초대비 6.14% 올랐고, 지난 한 해 동안에는 20.46% 수익률을 냈다.
구겐하임 S&P 글로벌 워터(종목코드: CGW)는 S&P 글로벌 물 지수(S&P Global Water Index)를 추종한다. 이 지수는 글로벌 수자원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약 50개 종목으로 만들어져 있다.
주요 종목에는 ▲게베릿(8.25%) ▲아메리칸 워터 웍스(7.75%) ▲정수기업 펜테어(5.34%) ▲다나허(5.33%) ▲유나이티드 유틸리티즈 그룹(4.82%)이 있다. CGW는 지난 5년간 대체로 상승세를 유지해 왔다. 지난 한 해 11.50% 수익률을 낸 데 이어 연초대비로는 7.84% 올랐다.
수자원 기술기업 자일렘(XYL)은 파이프와 펌프, 수질 테스트 관련 장비를 만드는 업체다. 전체 매출의 42%가 미국, 31%가 유럽, 14%가 아태 지역에서 발생하는 등 지역적으로 잘 분산돼 있다. 지아나쿠로스는 "자일렘이 여전히 보유 가치가 있다"면서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고, 업계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매출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
이트론(ITRI)은 전기, 가스, 물 사용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스마트 미터기를 만드는 회사다. 일인당 물 사용량이 1990년 당시 350리터였으나 10년이 지난 2000년에 640리터로 약 두 배 증가한 것을 보면 이트론의 사업 성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자원투자] 2014.03 삼성이 이끄는 글로벌 워터 펀드의 타겟 대상 (0) | 2019.08.06 |
---|---|
[수자원투자] 2016.09 영화 `빅쇼트`의 주인공이 물에 투자하는 이유…“블랙골드(석유) 이어 블루골드(물) 시대 올 것” (0) | 2019.08.06 |
1600만원이 된 비트코인. 상승이유는 무엇인가? / SBS뉴스 (0) | 2019.06.28 |
1만3천달러 돌파한 비트코인. 그 상승이유 (0) | 2019.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