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세계무역] KOTRA 코트라 2021년 08월 27일 오늘의 글로벌 소식
by 0ver-grow
2021. 8. 27.
[세계무역] KOTRA 코트라 2021년 08월 27일 오늘의 글로벌 소식
순서 |
제목 |
링크 |
내용 |
1 |
말레이시아 화장품 수입신고 절차 |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90060&column=&search=&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tegoryIdxs=&searchIndustryCateIdx=&searchItemName=&searchItemCode=&page=1&row=10 |
말레이시아는 관세명령(Customs Order 2017)에 의거하여 수입 제한 품목별로 수입요령이 명시하고 있는데, 화장품과 의약품의 경우 제품을 말레이시아로 수입하기 전에 관리기관인 국립의약품규제기관(NPRA)에 사전 신고를 진행해야 한다. NPRA에 신고된 회장품이 아닐 경우 말레이시아에서 화장품을 제조, 판매, 공급, 수입 또는 소지할 수 없으므로 말레이시아에 화장품을 수입 혹은 유통하려는 기업은 반드시 사전 제품 신고를 이행해야 한다....(상세내용은 원문참고) |
2 |
日중부지역 최초! 2021 Japan IT Week 나고야 참관기 |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90221&column=&search=&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tegoryIdxs=&searchIndustryCateIdx=&searchItemName=&searchItemCode=&page=1&row=10 |
Japan IT Week NAGOYA 전시회 참관기. 중부 지역에서 처음으로 개최되었으며, 총 9개 분야(△소프트웨어 및 응용 프로그램 개발 △영업 자동화·CRM EXPO △Built-in/Edge 컴퓨팅 △정보보안 △Web & 디지털 마케팅 △클라우드 업무 개혁 △IoT & 5G 솔루션 △차세대EC & 점포 △AI·업무 자동화)의 전문 전시회로 이뤄졌다....(상세내용은 원문참고) |
3 |
[기고] 코로나19가 일본 디자인 및 상표권 환경에 미친 영향 |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90201&column=&search=&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tegoryIdxs=&searchIndustryCateIdx=&searchItemName=&searchItemCode=&page=1&row=10 |
2020년 초 글로벌 코로나 사태가 발생한 이후 일년 반이 경과한 오늘날까지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는 수종의 변이체를 만들어내며, 여전히 인류의 삶을 크게 제약하고 이제까지와는 많이 다른 라이프 스타일을 강요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예외일 수 없으며, 지식재산(IP)의 영역 역시 이로 인해 적지 않은 변화가 일어났고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도 계속 진행될 것이다....(상세내용은 원문참고) |
4 |
[기고] 개정된 중국의 <공정경쟁 심사제도 실시세칙>과 공정경쟁심사제도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 |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90096&column=&search=&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tegoryIdxs=&searchIndustryCateIdx=&searchItemName=&searchItemCode=&page=1&row=10 |
지난 7월 8일 중국 국무원의 동의 하에 시장감독관리총국,국가발전 개혁위원회, 재정부, 상무부에서<공정경쟁 심사제도 실시 세칙>을 발표 했다. 이는 2017년 발표된 <공정경쟁 심사제도 실시 세칙(잠정 시행)>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이다....(상세내용은 원문참고) |
5 |
탄자니아 정부 2021/22 회계연도 예산안 주요내용 |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89779&column=&search=&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tegoryIdxs=&searchIndustryCateIdx=&searchItemName=&searchItemCode=&page=1&row=10 |
탄자니아 의회는 6월 22일 탄자니아 정부가 지난 6월10일자로 제출한 2021/22 회계연도 정부 예산안을 통과시켰다. 당초 정부는 36조 3,200억 실링(약 18조원)을 상정하였으나, 의회는 3,600억 실링(약 2천억 원)을 증액하여 통과시킨바, 이에 따라 2021/22 최종 예산안은 36조 6,800억 실링(약 18조 2천억 원)으로 확정되었다....(상세내용은 원문참고) |
6 |
중국 제품은 어떻게 인도 시장을 장악했나? |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90299&column=&search=&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tegoryIdxs=&searchIndustryCateIdx=&searchItemName=&searchItemCode=&page=1&row=10 |
인도와 중국은 최근 발생한 국경분쟁으로 정치적 관계가 악화됨에도 불구하고 인도의 대중국 무역 의존도는 여전히 심화되고 있다. 인도는 국내 제조기반 부재로 저렴한 중국산 제품을 수입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뿐만 아니라 중국 기업들은 인도 시장의 소비 트랜드를 파악하고 발빠르게 대처하는 적극성과 융통성을 보이고 있다. 인도와 중국 관계 악화로 발생하는 시장기회를 국내업들이 활용할 필요가 있다....(상세내용은 원문참고) |
7 |
인도의 자본재 시장의 수출입 동향과 시사점(1) |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90252&column=&search=&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tegoryIdxs=&searchIndustryCateIdx=&searchItemName=&searchItemCode=&page=1&row=10 |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으로 인도의 자본재 수요도 높아졌다. 인도 내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제조 역량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상세내용은 원문참고) |
8 |
[기고] 한-인도 무역불균형과 해결 노력 |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90250&column=&search=&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tegoryIdxs=&searchIndustryCateIdx=&searchItemName=&searchItemCode=&page=1&row=10 |
무역불균형은 한-인도 파트너십이 발전하는데 걸림돌이 되어 왔다. 무역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CEPA 개선 협상이 조속히 마무리될 필요가 있다....(상세내용은 원문참고) |
9 |
인도 진출기업 경제 노무관리 웨비나 참관기 |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90206&column=&search=&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tegoryIdxs=&searchIndustryCateIdx=&searchItemName=&searchItemCode=&page=1&row=10 |
KOTRA 뉴델리 무역관과 노사발전재단에서는 2021년 7월 27일 ‘인도 진출 기업 경제 노무관리 웨비나’를 공동 개최하였다. 시행 예정인 개정 노동법의 주요 내용과 코로나19 관련 현지 정부의 주요 지침 및 노사분쟁 해결 사례, 마지막으로 인권경영 등을 알아보며 현지에 진출한 우리기업의 안정된 경영활동과 노사관계 지원을 목표로 개최되었다. 아래와 같이 이번 세미나 내용을 요약해 보았다....(상세내용은 원문참고) |
10 |
아마존 셀러가 주목할 美 지식재산권 이야기 |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90354&column=&search=&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tegoryIdxs=&searchIndustryCateIdx=&searchItemName=&searchItemCode=&page=1&row=10 |
미국 이커머스 자이언트 ‘아마존(Amazon)’에 진출하려는 기업이나 개인이 최근 상당히 많아지고 있다. 판매자, 소비자 및 거래되는 제품의 규모가 급격히 성장하면서 아마존에서도 상표·특허·저작권 등 수많은 지식재산권 이슈가 발생하고 있는데, 아마존 셀러로서 꼭 알아두어야 할 지식재산권 관련 사항에 대한 전문가의 조언을 함께 들어본다....(상세내용은 원문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