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수자원투자] 2014.03 삼성이 이끄는 글로벌 워터 펀드의 타겟 대상

0ver-grow 2019. 8. 6. 11:06

2014/03/31 삼성펀드블로그

 

물의 중요성


지구 전체의 3/4, 우리 몸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물

계속되는 인구 증가와 생활 방식의 변화로 물 낭비 가속화

물 부족 사태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고자 UN에서는 ‘물의 날’을 지정하여 전세계 사람들이 경각심과 물의 소중함을 되새기도록 하고 있다.

물 부족 현상이 심각해지면서 물이 대접받는 ‘블루골드’시대가 초래

물은 국가가 다뤄야 할 중대한 과제

 

1) 수자원 인프라 투자

물 관련 문제는 어느 특정한 국가의 문제가 아닌 전 세계적인 문제

향후 수십 년간 수자원 관련 투자는 계속 될 것

미국, 유럽과 같은 선진국들은 기존의 노후 배관 교체 수요가 증가

국가 경쟁력이 성장 중인 신흥 국가 가운데 중국의 경우 하수도 인프라 확충 등 신규 투자 수요 증가

중국은 인구가 많아 물 부족 현상이 다른 나라보다 빈번이 발생 ▶ 파이프나 펌프, 엔지니어 관련 기업들이 큰 수혜

 

2) 수자원 가격 인상

수자원 가격 인상은 수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수요를 관리하는 측면

수자원이 부족하면 가격 인상은 필수 불가결한 선택 ▶ 수자원 공급 업체 등이 혜택

 

3) 오염물 처리, 수질 개선

우리가 사용하는 깨끗한 물의 이면에는 사용한 물에 대한 처리가 함께 발생

물 사용이 증가하고 수자원에 대한 개발이 이어질수록 하수 처리에 관한 분야도 증가

세계 최대 오염물 발생국인 중국은 쓰레기의 77% 정도를 매립 -> 토양은 물론 수질까지 오염 -> 원활한 수자원 공급에 문제

하수 처리뿐만 아니라 오염물을 줄이고 이를 전력생산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기업까지 다양한 방면으로 관련 시장이 넓어지고 있으며, 물 관련 펀드에서는 이러한 기업에도 주목하고 있습니다.

 

4) 새로운 수요

우월한 경제성, 적은 온실가스 배출로 주목 받는 셰일가스가 새로운 수요자원

셰일가스란, 오랜 세월 동안 모래와 진흙이 쌓여 단단하게 굳은 탄화수소가 퇴적암(셰일)층에 매장되는 가스로 미국의 경우 2011년 가스 생산량의 34% 정도, 2035년 약 60% 정도를 셰일가스가 차지할 것이라고 합니다.

셰일가스를 채굴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수자원이 필요

셰일가스를 채굴하고 오염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수자원 및 처리관련 기업들이 주목

 

물 관련 기업이란 어떤 기업인지 궁금하세요?

-물의 분배 및 하수 처리 관련 기업
-물 관련 산업의 설계, 엔지니어링, 컨설팅, 유지 보수 기업
-물 처리 설비 및 시설 공급, 관련 부속 제공 기업
-각종 수질 테스트, 수자원 관리, 보관 및 수질 유지 기업
-물을 정화하고 실제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기업